글을 끼적이기에 앞서 몇자 적는다. 이 책을 처음 사둔 것은 7월 초쯤이었다. 그 때에 함께 샀던 책이 워드프레스 관련 서적이었다. 아래를 대강 보아 목차를 살피면 알겠듯이 각 인터뷰이 간에 꼭 순서라는 게 중요하지 않은 책이어서 이리저리 오가며 책을 읽었다. 어차피 인터뷰를 풀어낸 책이기도 하고, 거의 대부분의 주제가 흥미롭기도 해서 읽는 데에는 얼마 걸리지 않았다. 대충 떠올려보면 사진가 구본창을 먼저 읽고, 거꾸로 박찬경에 갔다가, 그 다음으로 안상수, 문성근, 임옥상, 쭉쭉 하여 제일 흥미롭지 않은 이외수(취존)를 마지막으로 마친 듯 하다. 책 덮은 지 최소 보름은 지난 이 시점에야 이 글월을 적기 시작하는 것은 순전히 내가 게을러터진 탓이다. 오늘에서야 남은 백수생활을 좀 더 맘편히 보낼 요상시러운 마음의 평화를 얻었기 때문이기도 하고. 하지만 오늘 이 리뷰를 다 쓸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그런고로 앞으로도 깨작깨작 채워나가는 맛이 있으리라.
사진가 구본창 : 시간을 박제하다
블라블라1
건축가 승효상 : 건축적 혁명, 혁명적 건축
블라블라2
배우 문성근 : 끊임없이 싸우는 배우
일단 내가 무식해서 그랬겠지만, 이이가 한때 영진위의 부위원장을 했던 이임을 그간 알지 못했었다.
홍상수 영화의 주인공의 기원. 우선적으로 나에게 ‘홍상수의 문성근’이란 곧 「옥희의 영화」(2010) 의 송교수다. 회백색 지식인 혹은 속물 지식인. 「경마장 가는 길」(1991)의 주인공 ‘R’. 본적은 없으나 “너의 이러한 행동의 이데올로기는 대체 무엇이냐?”하는 대사만은 왠지 보지 않아도 그려지는 듯한. 연극계의 스타 그리고 영화계의 스타. 「한씨 연대기」(1985)와「칠수와 만수」(1988). 아버지 문익환. “1990년대 초중반 영화계를 박중훈과 함께 양분”. 메소드 연기-한국적 메소드 연기. 극사실주의. 배우의 아우라-배역의 아우라.
「그것이 알고싶다」
“안 봐요. 1993년에는 연기 욕심 때문에 그만뒀지만, 1997년에 복귀하고 2002년에 나온 것은 자의가 아니었거든요.”
1950년대 한국영화 1차 전성기. 1987년 6월 항쟁 이후 제2의 전성기. 그리고 지금, “수구의 대반격 시대이자 자본의 검열 시대”. “서병수 시장이 영화제를 몰라서 일으킨 일이죠. 영화계가 부산을 선택한 거지, 그 역이 아니에요. 서로 필요해서 만난 계약관계죠. 계속 저러면 영화계에서는 도시를 옮기자는 얘기가 나올 겁니다.”
‘산업구조의 변화’
1) 산업구조적 측면 : 수직계열화 해체. 투자배급업-극장업 간 분리. 대형 투자배급사 제작 관여 배제.
2) 표현의 자유 : 영상물등급위원회
3) 독립영화 및 연극계 지원 강화
미술가 임옥상 : 예술과 정치를 사유하는 미술
블라블라3
소설가 이외수 : 기인의 삶, 소설이 되다
블라블라4
대중음악평론가 강헌 : 전복과 반전의 대중음악
블라블라5
시각디자이너 안상수 : 글자로 세상을 멋짓다
블라블라6
미디어아티스트 박찬경 : 비판적 예술가와 타자들
블라블라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