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평화·안보(WPS) 네트워크 워크샵

1 | 2019. 5. 7.

베이징여성대회 25주년, UNSCR 1325 20주년, SDGs 5주년….  CEDAW. 1325 결의안의 탄생 배경. 참여(participation)·보호(protection)·예방(prevention)·구호와 복구(relief and recovery). UNSCR 2467(분쟁하 성폭력 문제 대응에서 여성의 성과 재생산 건강). gender issue – women issue로의 오역misinterpretation. 주체가 될 역량이 있는지 검증을 요구받는 여성들.

평화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 여성과 평화의 관계. 군사주의와 성차별주의의 연계. 이분법적 논의구도. 정상성-비정상성의 대립. 여성의 추가? 여성의 개입! 북한을 어떻게, 북한 여성을 어떻게? 교육환원론. 인권교육, 통일교육, 젠더교육, 평화교육. 한국사회의 여성평화운동? 대중화? 여성운동과 평화운동의 분리? 독일 통일과 동독 여성에 대한 stereotype. 지역성과 여성성. Feminist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Global-National-Local의 삼중주. 1325 – Code of Conduct? 전시성폭력 문제: ‘증언’, 연대, 제도화의 결합.

2 | 2019. 5. 21.

스웨덴과 캐나다의 페미니스트 외교정책 – 어떻게 만들지? 콜롬비아의 평화협정 모델: 젠더 관련 용어를 대중적이면서도 정교한 용어로 수정해 젠더 이데올로기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 – ?????

평화문화와 평화심상, 적대문화와 전쟁심상. 평화경제론과 비핵화 평화체제. 김정은의 “우리의 길”. 물음표와 느낌표. 참여의 질. 의제의 인큐베이팅. 평화협정 시안. 사법적 정의와 회복적 정의. 가정 내 폭력과 국가적 폭력의 연계. 전시 성폭력.

3 | 2019. 6. 4.

분단된 마음(감정구조). 분단수행성/행위. 구조로 환원되지 않는 일상의 행위성. 감정의 사회적 영향력, 사회적 에토스. 우적의 구분. 적대감에서 혐오로. 분단폭력론 – 젠더의 부재. 여성혐오 양상 – 자조적 (자기)피해자화. 종북게이 / 여성징병 / 저출산.

“집회는 여성들만 해요.” 개인의 비가시화와 주제의 가시화. 사회운동론.

젠더폭력을 비판하는 페미니스트들이 분단폭력에는 주목 (안/못)하는 이유? 분단관계에 숨어있는 권력관계. 안보화의 이슈와 젠더폭력의 문제 – 이론적 정교화? 군사안보 영역의 경유는 필연인가? 운동 내의 세대 간극 – 운동 간의 세대 간극? 북한에서도 미투를 알아요. 민족주의의 개념 설정 – 민족주의 VS 반민족주의 이분 구도의 해체.  국제질서의 젠더화/위계화. FEMINIZE.

6 | 2019. 7. 9.

통일교육 → 평화교육 / 평화통일교육 but 여전히 젠더 부재. 평화교육의 정체성? 평화교육 ≠ 통일교육. 여성평화운동이 시작한 평화논의를 남성주도 국제정치학이 흡수·전유. 남성은 디폴트값, 여성은 별도의 값.

평화활동가(O), 여성평화활동가(X) – why?

이 판도 마찬가지로 알탕(….)

파업을 혁명으로 이끄는 지도력? (한반도 여성은) 무엇을 위해 연대할 것인가? 어디에/어떻게 개입할 것인가?

댓글을 답시다 두비두밥